**북방곤봉수염하늘소**(학명: *Acanthocinus carinulatus* Gebler, 1833)는 딱정벌레목 하늘소과에 속하는 곤충입니다.
### 형태 및 주요 특징
- **몸길이**: 8~12mm로 소형 하늘소에 속합니다.
- **색상**: 전체적으로 검은색이며, 더듬이는 검은색과 회색의 줄무늬 모양을 띱니다[4].
- **더듬이**: 몸길이보다 훨씬 길며, 줄무늬가 있어 쉽게 구별됩니다.
- **기타**: 몸체가 비교적 짧고, 다리는 길고 가늘며, 전형적인 곤봉 형태의 수염(더듬이)이 특징입니다.
### 생태 및 분포
- **분포**: 한국(경기, 강원 등), 일본, 중국, 러시아, 유럽 등 북방구에 넓게 분포합니다[4][5].
- **서식지**: 주로 침엽수림, 특히 소나무류가 많은 지역의 죽은 나무나 고사목, 벌채목 등에서 발견됩니다.
- **생활사**: 유충은 침엽수의 죽은 나무 수피 아래에서 생활하며, 애벌레 기간은 1~2년입니다. 성충은 주로 6~7월에 출현합니다[6].
- **특징**: 큐티클의 수분 투과성이 낮아 극심한 추위에서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[6].
### 보전 및 기타 정보
- **희귀성**: 국내에서는 강원, 경기 북부 등지에서 소수만 관찰되는 희귀종입니다[6].
- **분포 변화**: 최근 기후 온난화로 인해 개체군 분포가 북상하고, 개체수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[6].
### 요약
북방곤봉수염하늘소는 몸길이 8~12mm, 검은색과 회색 줄무늬의 긴 더듬이가 특징인 소형 하늘소로, 주로 침엽수림의 죽은 나무에서 생활합니다. 한국을 포함한 북방구에 넓게 분포하지만, 국내에서는 일부 지역에서만 드물게 관찰됩니다[4][5][6].
출처
[1] 북방수염하늘소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B%B6%81%EB%B0%A9%EC%88%98%EC%97%BC%ED%95%98%EB%8A%98%EC%86%8C
[2] 북방수염하늘소 https://www.forest.go.kr/kfsweb/mer/fip/dbhis/selectInsectDetail.do;jsessionid=Y8I1UfW17SQIa1JMMfHg7oLQOAtAPoZ3E0JEg3t1taBtOibyvfae4goakwj1DgFi.frswas02_servlet_engine5?dbhisIdno=161&dbhisTpcd=20&searchCnd=&searchWrd=&mn=NKFS_01_01&pageIndex=13
[3] 북방곤봉수염하늘소 https://www.naturing.net/o/1193365
[4] 북방곤봉수염하늘소 https://www.korea-index.com/bugs/view/ZOBL0251/0
[5] 국가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https://www.kbr.go.kr/man/home/rsc/rsc01004_pop.do?dcRscMstSno=221847
[6] 솔곤봉수염하늘소 https://species.nibr.go.kr/endangeredspecies/rehome/redlist/redlist_view.jsp?link_gbn=ex_search&rlcls_sno=1766
[7] 북방수염하늘소 -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https://species.nibr.go.kr/species/speciesDetail.do?ktsn=120000019275
[8] 2020. 08 https://www.codil.or.kr/filebank/original/RK/OTKCRK210877/OTKCRK210877.pdf
By Perplexity
네이버블로그 : http://insectkorea.com
충우페이스북 : http://facebook.com/stagbeetles
ლ( ̄ □  ̄ლ) ლ( ̄ □  ̄ლ)
충우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~
ლ( ̄ □  ̄ლ) ლ( ̄ □  ̄ლ)